맨위로가기

바빌로니아 점성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빌로니아 점성술은 기원전 2천년기에 발생한 최초의 점성술 체계로, 천체의 움직임을 관찰하여 미래를 예측하는 데 사용되었다. 초기에는 세속적인 목적, 특히 국가와 왕의 안녕을 위해 활용되었으며, 징후 기반의 해석 체계를 갖추었다. 이후 천문학 지식의 발달과 함께 행성과 신을 연결하는 등 점성술의 체계가 발전했다. 바빌로니아 점성술은 공공적인 성격을 띠었으며, 천문학적 지식과 별자리에 대한 제한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발전했다. 아시리아 왕 아슈르바니팔은 점성술을 정치적으로 활용했으며, 그의 도서관은 바빌로니아 점성술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점성술의 역사 - 황도대
    황도대는 황도를 따라 분포하는 별자리 영역 또는 별자리들을 가리키는 천구상의 띠로, 천문학에서 황도 좌표계의 기초를 이루지만 주로 점성술에서 12궁도의 기준으로 사용되며, 춘분점 세차 운동으로 천문학적 별자리와 점성술적 별자리의 경계가 달라진다.
  • 점성술의 역사 - 세계축
    세계축은 천상과 지상을 잇는 상징적인 축으로서 다양한 문화와 종교에서 우주의 중심이나 세계의 근원으로 간주되며, 질서와 혼돈, 신성함과 세속됨, 인간과 초월적 존재 사이의 연결을 상징하고 심리적 안정, 사회적 질서 유지, 영적인 깨달음 추구 등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는 개념이다.
바빌로니아 점성술
점성술의 역사
기원기원전 3천년기
장소메소포타미아
주요 특징
유형점성술 전통
신념하늘의 몸체가 지상의 사건에 영향을 미친다.
관련 항목점성술의 역사
헬레니즘 점성술
점성술 전통
바빌로니아 점성술
대체 이름칼데아 점성술
일부
행성
황도대

2. 초기 기원

바빌로니아 점성술은 기원전 2천년기에 발생한 가장 먼저 성립된 점성술 체계이다.[23] 수메르 시대에 어떤 방식의 점성술이 기원전 3천년기에 나타났다는 추측이 있지만, 그 시기의 연대를 가지는 고대의 천체 징조에 대한 고립된 관계의 참고 문헌들은 점성술의 통합된 체계를 증명하기에 충분한 증거로 여겨지지 않는다.[24] 그러므로, 학문적 천체 점술의 역사는 일반적으로 기원전 1800년경 구바빌로니아 후기의 문헌들과 함께 시작되었고, 기원전 1200년경 중기 바빌로니아와 중기 아시리아 시대를 통해 계속되었다.[25]

2. 1. 에누마 아누 엔릴

기원전 16세기까지 ''에누마 아누 엔릴''로 알려진 종합적인 참고 자료의 편찬에서 징조 기반 점성술의 광범위한 사용을 확인할 수 있다.[26] 그 내용은 쐐기 문자로 7,000개의 천체 징조를 포함하는 70개의 평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시대의 문헌은 또한 구전 전통을 언급하는데, 그 기원과 내용은 추측할 수밖에 없다.[26] 이 당시 바빌로니아 점성술은 순전히 세속적인 것이었고, 기원전 7세기 이전에는 점성술사들의 천문학에 대한 이해가 상당히 미흡했다. 미래의 천체 현상과 행성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예측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해석은 현상이 발생하거나 그 직전에 이루어졌다. 그러나 기원전 4세기에는 수학적 방법이 발전하여 미래의 행성 위치를 상당히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게 되었고, 그 시점부터 광범위한 역서가 등장하기 시작했다.[27]

2. 2. 초기 점성술의 특징

바빌로니아 점성술은 기원전 2천년기에 발생한 가장 먼저 성립된 점성술 체계이다.[23] 기원전 3천년기의 수메르 시대에 어떤 방식의 점성술이 나타났다는 추측이 있지만, 그 시기의 연대를 가지는 고대의 천체 징조에 대한 고립된 관계의 참고 문헌들은 점성술의 통합된 체계를 증명하기에 충분한 증거로 여겨지지 않는다.[24] 그러므로, 학문적 천체 점술의 역사는 일반적으로 (기원전 1800년경의) 구바빌로니아 후기의 문헌들과 함께 시작되었고, 중기 바빌로니아와 (기원전 1200년경의) 중기 아시리아 시대를 통해 계속되었다.[25]

기원전 16세기, ''에누마 아누 엔릴''이라고 알려진 전조기반 점성술의 광범위한 채택은 포괄적 참고 문헌의 편찬이 증거가 될 수 있다. 그것의 내용은 쐐기 문자로 7,000가지의 천체 징조를 포함하는 70개의 평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시대에서 유래한 문헌들 중 구전으로 전해진 것들도 있는데, 그것의 기원과 내용에 대해서는 추측만 가능할 뿐이다.[26] 그 시기의 바빌로니아 점성술은 오직 세속적이었고 기원전 7세기 이전의 점성술 종사자의 천문학에 대한 이해는 실제로 가장 기초적이었다. 그들은 미래의 천체 현상과 행성의 이동에 대해 훨씬 앞서서 정확한 예측을 할 수 없었기 때문에, 해석은 어떤 현상이 발생할 때나 조금 이전에 행해졌다. 그러나, 4세기에, 그들의 수학적 방법은 적절한 정확성을 지녔으므로 행성의 미래의 위치를 예측할 만큼 충분히 진보해 왔었고, 그 시점에 광범위한 천체력이 나타나기 시작했다.[27]

3. 점술의 기초

바빌로니아인들은 신들이 행성이나 항성의 천체 형상으로 자신을 드러낸다고 믿었으며, 특정 행성에 부여된 불길한 징조는 신의 불만이나 소동의 징후로 여겨졌다.[29] 이러한 믿음은 신을 달래고 왕과 국가에 닥칠 재앙을 피하기 위한 시도로 이어졌다. 에사르하돈 왕이 기원전 673년 월식을 우려한 기록은 다음과 같다.

이는 마법과 전조에 대한 믿음과 함께, 점성학적 사건이 자연 현상과 상관관계가 있다는 기계적인 관점이 결합된 사례를 보여준다.

3. 1. 신의 계시

바빌로니아 점성술의 역사는 점술의 맥락 안에서 천문학 지식이 발전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기원전 1875년으로 연대가 추정되는, 간 모형이 새겨진 32개의 평판 모음집은 알려진 가장 오래된 바빌로니아 점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집이며, 천체 전조 분석에 활용된 것과 같은 해석 양식을 증명한다.[28] 제물로 바쳐진 간에서 발견된 흠과 표시는 신들이 왕에게 계시를 나타내는 상징적인 표시로 해석되었다.

신들은 그들과 연관된 행성이나 항성의 천체 형상으로 스스로를 드러낸다고 믿어지기도 했다. 어느 특정 행성에게는 불길한 천체 징조가 부여되었는데, 그것들은 신의 불만이나 소동의 징후로 보였다.[29] 이러한 징후는 신을 진정시키고 왕과 그의 국가에 미치는 중대한 손해 없이 신의 표현이 현실화될 수 있는 감당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시도로 이어졌다. 왕 에사르하돈이 기원전 673년의 월식을 우려했다는 천문학의 기록은 마법과 전조에 대해 아무런 의문 없이 따르는 신앙에 점성학적 사건이 자연계 안의 어떤 종류의 상관 현상을 수반한다는 전적으로 기계적인 관점이 결합된 왕의 대리인이나 대신하는 사건의 의례적 사용이 어떠했는지를 보여준다.

울라 코흐 베스텐홀츠는 1995년 그녀의 저서 《메소포타미아의 점성술(Mesopotamian Astrology)》에서 마법에 대한 심각한 의존에도 불구하고 복수를 위해 정해진 처벌이라는 암시 없이 남아있는 것들 가운데 하나로써 바빌로니아 천체 점술을 정의하는데 유신론과 기계론적 세계관 사이의 모호상에 대해서 논했다. 그리고, 그것은 "현대 과학의 정의된 특성을 일부 공유한다.: 그것은 실재적이며 가치판단적이 아니며, 그것은 알려진 규칙에 따라서 운용되고, 그 자료는 널리 유효하다고 여겨지며, 작성된 목록표에서 찾아볼 수 있다."고 했다.[31] 코흐 베스텐홀츠는 고대 바빌로니아 점성술과 다른 점술들의 규칙의 가장 중요한 차이점을 규명하는데 있어서, 전자는 처음부터 오로지 세속적으로 지리적으로 향하게 건축하는 것 그리고 특히 국가와 도시, 국민들에게 적용되며, 거의 전부가 국가의 통치 수장으로서의 왕과 왕국의 복리에 관한 것이라고 했다.[32]

3. 2. 유신론적, 기계론적 세계관

바빌로니아 점성술의 역사는 점술의 맥락 안에서 천문학 지식이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기원전 1875년으로 연대가 추정되는, 간 모형이 새겨진 32개의 평판 모음집은 알려진 가장 오래된 바빌로니아 점술의 상세 설명집이며, 천체 전조 분석에 활용된 것과 같은 해석 양식을 증명한다.[28] 제물로 바쳐진 간에서 발견된 흠과 표시는 신들이 왕에게 계시를 나타내는 상징적인 표시로 해석되었다.

신들은 그들과 연관된 행성이나 항성의 천체 형상으로 스스로를 드러낸다고 믿어지기도 했다. 어느 특정 행성에게는 불길한 천체 징조가 부여되었는데, 그래서 그것들은 신의 불만이나 소동의 징후로 보였다.[29] 이러한 징후는 신을 진정시키고 왕과 그의 국가에 미치는 중대한 손해 없이 신의 표현이 현실화될 수 있는 감당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시도로 이어졌다. 왕 에사르하돈이 기원전 673년의 월식을 우려했다는 천문학의 기록은 마법과 전조에 대해 아무런 의문 없이 따르는 신앙에 점성학적 사건이 자연계 안의 어떤 종류의 상관 현상을 수반한다는 전적으로 기계적인 관점이 결합된 왕의 대리인이나 대신하는 사건의 의례적 사용이 어떠했는지를 보여준다.

울라 코흐 베스텐홀츠는 1995년 그녀의 저서 《메소포타미아의 점성술(Mesopotamian Astrology)》에서 마법에 대한 심각한 의존에도 불구하고 복수를 위해 정해진 처벌이라는 암시 없이 남아있는 것들 가운데 하나로써 바빌로니아 천체 점술을 정의하는데 유신론과 기계론적 세계관 사이의 모호성에 대해서 논했다. 그리고, 그것은 "현대 과학의 정의된 특성을 일부 공유한다.: 그것은 실재적이며 가치판단적이 아니며, 그것은 알려진 규칙에 따라서 운용되고, 그 자료는 널리 유효하다고 여겨지며, 작성된 목록표에서 찾아볼 수 있다."고 했다.[31] 코흐 베스텐홀츠는 고대 바빌로니아 점성술과 다른 점술들의 규칙의 가장 중요한 차이점을 규명하는데 있어서, 전자는 처음부터 오로지 세속적으로 지리적으로 향하게 건축하는 것 그리고 특히 국가와 도시, 국민들에게 적용되며, 거의 전부가 국가의 통치 수장으로서의 왕과 왕국의 복리에 관한 것이라고 했다.[32]

4. 행성과 신

바빌로니아인들은 다섯 행성을 바빌로니아 신화 속 신들과 동일시했다.[12]



이들은 태양과 달, 그리고 다섯 행성의 움직임이 달의 신 신과 태양의 신 샤마슈와 함께 다섯 신의 활동을 나타내며, 땅에서 일어날 일들을 준비한다고 믿었다. 따라서 이러한 천체들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읽고 해석하면 신들이 무엇을 하려는지 알 수 있다고 생각했다.[13]

4. 1. 길성과 흉성

바빌로니아인들은 점성술에서 행성의 속성에 따라 길성(吉星)과 흉성(凶星)을 구분했다.[14] 길성은 "선행자"를 의미하며, 긍정적인 속성을 가진 행성을 말한다. 반면, 흉성은 "악행자"를 의미하며, 부정적인 속성을 가진 행성을 의미한다.[15]

바빌로니아인들은 다섯 개의 행성을 신과 동일시했다.[12] 이들은 태양과 달, 그리고 다섯 행성의 움직임이 신들의 활동을 나타낸다고 믿었으며, 이러한 천체의 움직임을 관찰하고 해석함으로써 신들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13]


4. 2. 항성 의학

점성술은 항성 의학으로 알려진 관행에서도 매우 중요했다. 우루크에서 발견된 후기 바빌로니아 시대 이키샤(Iqīšâ)라는 마슈마슈(mašmaššu) 사제의 달력 문서에 따르면, 날짜에 따라 환자에게 다른 치료법이 적용되었다.[17]

이키샤의 달력 문서 (4월) [17]
순번별자리날짜치료법
1양자리7양의 피, 양의 기름, 양의 털을 바른다.
2염소자리14염소의 피, 염소의 기름, 염소의 털을 바른다.
3천칭자리21"빈 곳"에 바른다.
4게자리28게의 피 또는 게의 기름을 바른다.
5황소자리5황소의 피 또는 황소의 기름 또는 황소의 털을 바른다.
6물병자리12독수리의 머리, 날개, 피를 바른다.
7전갈자리19"빈 곳"에 바른다.
8사자자리26사자의 피, 사자의 기름 또는 사자의 털을 바른다.
9쌍둥이자리3수탉의 머리, 피, 날개를 바른다.
10물고기자리10비둘기의 머리, 피, 제비의 머리, 피를 바른다.
11궁수자리17안주(鳥?)의 머리, 안주(鳥?)의 날개, 안주(鳥?)의 피를 바른다.
12처녀자리24시구슈(šigušu) 보리 가루, 까마귀의 머리와 까마귀의 날개를 바른다.



스틸(Steele)은 항성 의학이 당시 학자들이 고안한 순전히 이론적인 관행일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인정한다. 여러 재료를 구하는 데 많은 비용이 들거나 평범한 바빌로니아인이 구할 수 없었기 때문에 두 가지 가능한 상황이 제기된다. 달력 문서 및 기타 자료에서 볼 수 있는 항성 의학의 개념 전체가 단순한 이론이며 실제 사용을 위한 것이 아니었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 그러나 바빌로니아 의학에는 드레카포테케(Dreckapotheke)라고 알려진 전통이 있는데, 여기서는 일반적인 재료의 이름을 불쾌하게 들리는 이름으로 지정한다. 달력 문서에 나열된 재료가 이러한 전통을 따르고 있을 가능성도 있다.[17]

이키샤의 달력 문서에 나와 있는 각 별자리의 동물성 재료[17]
별자리일반적인 바빌로니아 이름재료
양자리고용된 사람
황소자리별들(플레이아데스 성단)황소
쌍둥이자리쌍둥이수탉
게자리
사자자리사자사자
처녀자리보리 줄기보리 가루, 까마귀
천칭자리저울"빈 것"
전갈자리전갈"빈 것"
궁수자리파빌사그안주(鳥)
염소자리염소고기염소
물병자리위대한 것독수리
물고기자리꼬리들비둘기, 제비


5. 해석 체계

바빌로니아 사제들은 하늘에서 관찰되는 현상에 대한 해석 체계를 완성하고자 하였으며, 이 체계는 , 태양, 그리고 다섯 행성에서 더 뚜렷하게 관찰되는 항성으로까지 확장되었다. 이들의 해석은 주로 두 가지 요소에 기반을 두었는데, 첫째는 과거의 기록이나 기억 속에서 특정 현상이 관찰되었을 때 발생했던 사건들이고, 둘째는 관찰된 현상과 관련된 연상 작용으로 때로는 말장난을 포함하기도 했다.[10]

예를 들어, 구름 낀 하늘에서 초승달이 뜬 후 적에 대한 승리나 풍부한 비가 내렸다면, 해당 별자리는 상서로운 징조로 여겨졌다. 이후 같은 현상이 반복되면 좋은 징조로 해석되었으며, 이는 반드시 특정 사건에만 국한되지 않고 다른 상황에도 적용될 수 있었다.[10]

반면, 예상보다 이른 초승달의 출현은 불길한 징조로 간주되었다. 이는 패배, 가축의 죽음, 흉작 등과 연결되었는데, 실제로 그러한 사건이 발생했기 때문이라기보다는 '시기상조'라는 개념이 불길한 사건을 암시한다는 연상 작용에 따른 것이었다.[10]

이처럼 다양한 관찰 현상에 대한 전통적인 해석이 축적되었고, 이는 사제들의 지침서가 되었다.[10] 그러나 이러한 해석 체계가 오늘날 행해지는 점성술에서 모두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5. 1. 해석의 기반

바빌로니아 사제들은 하늘에서 관측되는 현상들을 해석하는 체계를 완성하는 일에 힘썼으며, 그 체계는 , 태양, 그리고 다섯 개의 행성에서 더 눈에 띄고 알아볼 수 있는 고정된 별들로 확장되는 것이 자연스러웠다.

해석 자체는 (점복을 통해 간을 보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주로 두 가지 요소에 기반을 두었다.

  • 문제의 현상이 관측되었을 때 과거에 발생했던 일에 대한 기억이나 기록
  • 관측된 현상과 관련된 관념의 연상 – 때로는 단순한 말장난을 포함하기도 함 –


따라서 어떤 경우에 구름 낀 하늘에서 신월이 뜨는 것이 적의 승리나 풍부한 비를 가져왔다면, 문제의 징조는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었고, 그 재현은 그 이후로 좋은 징조로 간주될 것이며, 예언은 반드시 그러한 사건 중 하나에 국한되지 않고 다른 상황에도 적용될 수 있다.

반면에 예상보다 일찍 신월이 나타나는 것은 불리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어떤 경우에는 패배를, 또 다른 경우에는 가축의 죽음을, 세 번째 경우에는 흉작을 예언하는데, 이러한 사건이 실제로 그러한 현상 후에 발생했기 때문이 아니라, 시기상조인 것은 불리한 사건을 시사한다는 관념 연상에 기초한 일반 원리를 적용함으로써 그러했다.

바빌론 이슈타르 문의 세부 사항


이러한 방식으로 관측된 모든 종류의 현상에 대한 전통적인 해석의 집합이 모였고, 일단 모이자 모든 시대의 사제들에게 안내서가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모든 개념이 오늘날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점성술에서 여전히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6. 초기 지식의 한계

초기 단계의 점성술은 세 가지의 특징적인 한계를 보였다.

6. 1. 공공적 성격

천체의 움직임과 위치는 공공의 의미를 가지며 공통의 복리에 영향을 미친다는 첫 번째 한계가 있었다. 여기서 어떠한 방식으로든 개인의 관심은 수반되지 않았다. 중세 국면과 개인의 천궁도를 숙고하는 거의 배타적인 현대 점성술에 이르기 전에, 여러 세기를 내려가며 바빌로니아아시리아의 한계를 넘어서야 한다.[33]

바빌로니아아시리아에서 종교적 의식은 대부분, 그리고 거의 독점적으로 공공의 복리와 왕에게 집중되었다. 왜냐하면, 고대의 왕권에 대한 개념에 따라서, 국가의 운명은 신들에 대한 그의 행복과 호의에 달려있었기 때문이었다.[21]

6. 2. 천문학 기술의 한계

초기 바빌로니아 점성술에서 천문학 지식은 경험적이긴 했지만 제한적이고 결함이 있었다. 황도에 대한 이론은 바빌로니아에서 기원한 것이 맞지만, 기원전 539년 바빌로니아가 멸망하기 전까지는 완성되지 않았다.[1]

바빌로니아 천문학자들의 달 계산 체계나 행성 표 제작 등 다른 업적들도 후대에 속한다. 바빌로니아 천문학의 황금기는 최근까지 알려진 것과 달리 셀레우코스 왕조 시대, 즉 유프라테스 계곡에 그리스인들이 온 이후이다.[1]

기원전 7세기 이전 점성술 문헌에서 일식과 월식 계산이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주요 업적은 기원전 400년 이후에 완성되었고, 초기 바빌로니아 천문학의 결함은 기원전 6세기에 바빌로니아 천문학자들이 계산으로 특정 해의 시작을 결정하려다 거의 한 달이나 오차를 냈다는 사실에서 추측할 수 있다.[1]

천체 이동의 법칙과 질서에서 비롯된 치세가 인정되었고, 이는 동물의 간을 검사하는 것보다 수준 높은 체계적인 점술 발생에 영향을 주었다.[1]

현상의 무한한 변화와 수많은 예외는, 하늘의 "조사자"이자 제물 간의 "검사자"인 사제가 실용적 목적에 필요한 것을 넘어서는 천문학 연구를 오랫동안 막았다.[1]

6. 3. 별자리의 한계

기원전 700년 이전에 바빌로니아 천문학에서 현재 인정되는 황도대의 별자리에 대한 증거는 약간밖에 없다. 그러나, 기원전 2000년경 함무라비 시대부터 이미 바빌로니아의 점성가들은 두드러진 항성 무리들을 신화와 종교에서 유래한 형상의 윤곽으로 그림으로써 별자리의 개념을 발전시켰던 것으로 보인다.

7. 아슈르바니팔과 점성술

아슈르바니팔은 기원전 668년부터 기원전 625년까지 아시리아를 통치한 왕이다.[34] 그는 니네베에 점성술, 역사, 신화, 과학을 주제로 한 쐐기문자 평판을 모아 대규모 도서관을 만든 것으로 유명하다. 아슈르바니팔의 점성술사였던 람마누 수마우사르와 나부 무시시 등은 행성의 일일 운동으로부터 전조를 추론하는 데 능숙하여 왕에게 주기적으로 보고하는 체계를 갖추었다. 아슈르바니팔은 왕국 전역에서 "하늘과 땅에서 일어나는 모든 사건"과 점성가들의 조사 결과를 상세히 기록한 신속한 전보를 받았다. 그는 이를 정치적 무기이자 왕국 운영에 활용했다. 그의 사후, 니네베는 메디아와 칼데아 바빌로니아에게 함락되었고, 아슈르바니팔의 도서관은 파괴되거나 흩어졌다.

참조

[1] 서적 Holden (1996)
[2] 서적 Rochberg (1998) https://books.google[...]
[3] 서적 Rochberg (1998)
[4] 서적 Baigent (1994)
[5] 서적 Holden (1996)
[6] 서적 Koch-Westenholz (1995)
[7] 서적 Koch-Westenholz (1995)
[8] 웹사이트 Catalog of Lunar Eclipses: -0699 to -0600 https://eclipse.gsfc[...]
[9] 서적 Koch-Westenholz (1995)
[10] 서적 Koch-Westenholz (1995)
[11] 서적 Koch-Westenholz (1995)
[12] 웹사이트 Marduk (god) http://oracc.iaas.up[...] 2018-05-09
[13] 논문 Babylonian Horoscopes 1952
[14] 서적 In the Path of the Moon Brill
[15] 웹사이트 Benefic - The Astrology Dictionary http://theastrologyd[...] 2017-10-19
[16] 논문 Mesopotamian astrology: an introduction to Babylonian and Assyrian celestial divination https://www.academia[...]
[17] 논문 Astronomy and culture in Late Babylonian Uruk† 2011-07-26
[18] 논문 Months and Days in Babylonian-Assyrian Astrology 1910
[19] 논문 Enūma Anu Enlil XIV and Other Early Astronomical Tables 1991
[20] 논문 The Sun at Night and the Doors of Heaven in Babylonian Texts 1986
[21] 서적 The Early History of Kingship
[22] 서적 New Compleat Astrologer
[23] 서적 Holden (1996)
[24] 서적 Rochberg (1998) http://books.google.[...]
[25] 서적 Rochberg (1998)
[26] 서적 Baigent (1994)
[27] 서적 Holden (1996)
[28] 서적 Koch-Westenholz (1995)
[29] 서적 Koch-Westenholz (1995)
[30] 서적 Koch-Westenholz (1995)
[31] 서적 Koch-Westenholz (1995)
[32] 서적 Koch-Westenholz (1995)
[33] 서적 The Early History of Kingship
[34] 서적 New Compleat Astrolog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